상담가능시간
주중. 09:00 - 20:00
주말. 09:00 - 14:00
일요일은 휴무입니다.
전화 · 이메일 상담
T: 02-3453-8016
기업법무
대기업, 상장사, 스타트업, 중소기업, 외국계기업, 공기업 등 200개 이상의 기업을 자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법률이슈에 관하여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기업별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분야별
국제 ∙ 해외업무
➔
규제컨설팅
➔
데이터 ∙ 개인정보
➔
부동산
➔
소송 · 중재
➔
스타트업 ∙ VC
➔
엔터테인먼트
➔
인사 · 노무
➔
지식재산권
➔
산업별
IT · 인공지능
➔
건설
➔
기술 · 라이센싱
➔
바이오 · 헬스케어
➔
블록체인 · NFT
➔
이커머스 ∙ 플랫폼
➔
제조 · 유통업
➔
콘텐츠 ∙ 미디어
➔
핀테크
➔

General Corporate
기업법무
기업법무 업무사례

고객사는 청소 전문 업체로, 최근 조경사업까지 서비스를 확장하여 인력 파견을 통한 용역 제공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파견사업은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약칭 “파견법”)의 규제를 받으므로, 파견법을 참고하고,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하는 표준안을 토대로 계약서를 작성해드렸습니다.
파견업은 허가를 받은 파견업체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력 파견을 고려하실 때 반드시 파견법 리스크를 검토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파견계약 자문 및 파견계약서 작성

파견계약 자문 및 파견계약서 작성
파견사업을 새롭게 도입하는 기업을 위해 파견계약서를 작성해드리고,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였습니다.
25/10/21
자세히 보기

김장리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공 업체를 위하여, 가명화 된 개인정보를 외부 정보와 결합하는 방식의 데이터 결합에 대하여 자문하였습니다.
고객사는 (1) 치매 치료 임상정보와 (2) 진료정보를 결합하여 치매 환자의 합병증과 만성질환을 예측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보호법상 규제를 준수하여야 하므로 그에 대한 법적 자문을 제공해드렸습니다.
가명정보 결합 관련 법률자문

가명정보 결합 관련 법률자문
가명화 된 개인정보를 외부 정보와 결합하는 방식의 데이터 결합에 대하여 자문하였습니다.
25/10/11
자세히 보기

전 세계에 지사를 보유한 고객사는 최근 사내용 개인정보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고, 이를 글로벌 지사에 배포하고자 하였습니다.
김장리는 유럽의 GDPR 법규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의 ‘법령-외국어번역’ 자료를 참고하여 일관성 있는 영문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제공해드렸습니다.
글로벌 기업의 사내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매뉴얼 구축

글로벌 기업의 사내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매뉴얼 구축
김장리는 H사가 새롭게 작성한 사내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글로벌 지사에게 배포할 수 있도록 번역 및 자문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25/09/26
자세히 보기

정밀화학 기업인 고객사는 미국의 SCM로부터 수령한 영문계약서 검토를 요청하였습니다.
검토 결과, 고객사에게 불리한 다수 발견되었는데 불합리한 계약 해지조건, 3년 가격 보장 조건, 상대방의 과도한 감사 권한 등 여러 조항을 협상/수정하여 만족스러운 계약 체결을 이끌어냈습니다.
글로벌 기업(SCM)에게 정밀화학 소재 수출

글로벌 기업(SCM)에게 정밀화학 소재 수출
북미의 바이어가 작성한 영문 판매계약서에 대하여 제품공정 승인, 품질관리 절차, 계약해지 조근 등 불리한 조항을 수정하여 성공적인 계약 체결을 이끌어냈습니다.
25/09/10
자세히 보기

고객 사는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을 한국과 미국에 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김장리는 영화비디오법에 따른 영상물 등급심사, 라이선스 취득 등 사업 운영을 위한 자문과 함께, 플랫폼 이용자를 위한 국문·영문 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작성해드렸습니다.
한국과 미국에 출시될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규제 검토 및 약관 자문

한국과 미국에 출시될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규제 검토 및 약관 자문
Pay Per View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의 한국과 미국 출시를 위해 한국의 영화비디오법과 전자금융거래법, 미국의 EFTA 규제를 검토하였습니다.
25/08/26
자세히 보기

스트리밍 플랫폼 사업자인 고객사는 장기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을 자문받기 위해 김장리 문의하였고, 이를 위한 첫번째 단계로써 신규 법인을 설립할 해외 국가를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김장리는 가장 유력한 두 후보였던 미국과 싱가포르의 개인정보 규제, 방송·콘텐츠 규제, 저작권 규제를 심도있게 조사하였고, 고객사의 사업 운영에 적합한 국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해외 규제 검토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해외 규제 검토
김장리는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를 출시하고자 하는 고객사를 위해 미국과 싱가포르의 현지 법규 리서치 작업을 하였습니다.
25/08/20
자세히 보기


